본문 바로가기

세상살이 Zoom In/생활 | 경제

광화문 현판 - 임태영 한자로 '광화문(光化門) 현판' 최종 결정

반응형
광화문 현판 글자를 한글로할지 한자로 할지 지리한 공방 끝에 27일 문화재위원회에서는 '광화문(光化門) 현판'을 최종 한자로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광화문 현판의 한자는 최초 경복궁의 중건당시의 임태영 한자로 그대로 복원하여 사용하기로 한 결정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광화문 현판의 임태영 한자는 중건당시 훈련대장이였던 임태영의 한자글씨를 말합니다. 바로 아래의 이미지 속 모습이 새롭게 복원된 광화문 현판의 임태영 한자체 입니다.

광화문 현판 한자 글씨 - 임태영 광화문 현판

광화문 현판 - 광화문(光化門) 현판 훈련대장 임태영 한자글씨체로 복원


광화문 현판은 위와 같이 임태영 한자글씨체로 복원되는데요. 지난번 균열이 발생한 이래로 근 2년동안의 광화문 현판의 글자를 두고서 한자 또는 한글을 놓고서 벌여졌던 공방이 마무리 된 셈입니다. 한글로 현판이 제작될 경우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역사를 담아 한글을 알리는 장점도 있었는데요. 최종 위와 같은 임태영 한자를 이제 광화문에 가시면 현판으로 계속해서 만나볼 수 있는데요. 옛것의 복원이니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 원리나 이치에도 맞아 보입니다.
반응형